장애인 39.5%가 비만... 건강 적신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회 1,591회
작성일 11-03-31 11:23
본문
장애인을 위한 운동시설 및 프로그램 부족 등 미흡한 사회적 지지가 장애인 비만인구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비만율이 가장 높은 장애유형은 정신장애, 남성보다는 여성장애인의 비만율이 더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10개월간 수행한 ‘장애인의 비만실태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으로 연구진은 “우리나라 장애인의 정상체중, 비만, 고도비만율을 산출하고 장애인의 비만율이 비장애인보다 높은 원인을 규명해 장애인 비만율 감소를 위한 인프라와 정책을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시작됐다.”고 취지를 밝혔다. 연구는 보건복지부 장애인 등록 자료와 건강보험공단의 자격, 건강검진, 의료이용 자료, 통계청의 사망원인 자료 등이 기초자료로 사용됐다. ▲비만율 증가…45세 이상 여성장애인 고도비만에 가장 취약 연구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비만율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8년 기준 장애인 비만율은 39.5%로 비장애인은 34.74%의 비만율을 보였다. 장애인 비만율 증가 추세를 보면 2002년 35.5%에서 2004년 36.3%, 2006년 38.2%, 2008년 39.5%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2008년을 기준으로 유형별로는 정신장애인의 48.4%가 비만으로 조사돼 가장 높은 비만율을 나타냈다. 지체장애인 중 하지장애가 45%, 척추장애가 43.5%로 뒤를 이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별 분석에서 여성, 45~64세 연령층의 비만율이 높았고, 장애등급별 분석에서 자폐성장애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장애유형에서 장애등급이 경증인 4~6등급 장애인의 비만율이 더 높았다. 특히 고도비만율이 비장애인보다 장애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3.3%였던 장애인 고도비만율은 2008년 4.6%까지 증가했으며 같은 해 비장애인 고도비만율이 3%인 것에 비하면 위험성을 지적해 볼만하다. 고도비만율이 높은 장애유형은 정신장애와 지적장애였으며, 지체(하지)장애가 최근 들어 고도비만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고도비만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45세 이상 여성장애인으로 전체 고도비만 장애인의 54%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진은 비만과 장애, 사망률의 상관관계에도 집중했다. 비만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는 여성장애인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고도비만 여성장애인의 사망률이 정상체중 여성 장애인보다 4배 높았다고 연구진을 밝혔다. ▲운동하기에 부족한 환경, 장애유형별 대안 고민해야 운동시설이나 프로그램 부족 환경이 비만을 야기하는 공통된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연구진은 장애인 비만의 원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정책적 대안을 개발하기 위해 장애인과 보호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룹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룹인터뷰에서는 운동을 할 수 있는 미흡한 환경이 문제점으로 제기됐으며, 장애유형별 특성을 이해한 인력배치나 프로그램 구성 등의 지원이 요구됐다. 인터뷰에 참여한 수영센터 소장은 “실질적으로 장애인에 맞는 운동장비가 부족하다. 비장애인은 러닝머신을 이용하면 되지만 휠체어장애인들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부분을) 알면서도 장비가 충족되지 못하니까 해결이 안된다.”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장애인 비만관리 환경 현황을 전국의 복지관과 특수학교, 생활시설 163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장애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복지관 42%, 특수학교 55%, 생활시설 75%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지관은 체계적인 비만관리를 하는 곳이 드물었으며, 특수학교는 체육수업의 일환으로 걷기 및 뛰기 등을 하거나 방학 중 프로그램이 운영되더라도 담당 교사와 보건교사 등 인력이 부족한 상태였다. 생활시설은 수치상으로는 높았으나 실제로 비만관련 검사, 프로그램 시행 등 체계적 비만관리를 하는 곳이 드물었다. 비만관리를 위한 전문체육지도사 존재여부 역시 복지관 39%, 특수학교 40%, 생활시설 5%로 낮게 조사됐다. 주변 체육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구비 정도는 장애인 전용 주치장과 화장실, 승강기 등은 인식의 변화로 구비돼 있었지만 샤워실, 셔틀버스, 자판기 등은 미비한 상태로 파악됐다. 또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개인과 가족의 인식 및 동기 부족, 열악한 경제 사정으로 인한 건강관리의 어려움, 식이섭취의 문제점, 장애유형별 프로그램 부족 등이 지적됐다. 특히 정신장애의 경우 의료 이용에 따른 비만유발 요인이 확인됐다. 연구에 따르면 비정형 약물 부작용으로 신체활동 저하와 비만 유발 식품 섭취가 지적됐으며, 폐쇄병동환경이 행동변화의 동기를 약화하는 등 입원으로 인한 환경적 제약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인터뷰에 참가한 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 간호사는 “정신과 약물을 먹으면 본인은 행동을 취하고 싶은 의지가 있다하더라도 자꾸 움츠려 들고 움직이기 싫어지게 된다고 한다.”고 약물에 의한 영향을 전했다. ▲병원과 지역사회 역할 중요, 생활체육 활성화 강조 연구진은 “장애인 비만 예방 및 관리는 개입활동의 시행 주체 및 환경에 따라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에서의 비만관리로 구분된다.”며 “장애발생초기, 의료 기관에서부터의 적극적인 비만관리 교육과 운동처방을 통해 비만예방을 위한 건강형태를 습득하도록 해야 한다.”고 정책적 대안의 기본적 의견을 밝혔다. 더불어 지역사회의 여러 건강자원을 활용한 생활체육 활성화, 비만캠프 등과 더불어 건강취약집단이 중증재가장애인 대상의 개입활동을 통해 지속·포괄적 비만관리를 제안했다. 먼저 의료 기관에서의 장애인 비만관리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장애원인 중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 발생율이 90%에 이르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진은 장애진단 또는 치료를 위해 의료 기관을 이용할 때 비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제시했다. 비만교육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라 적절한 운동의 종류와 방법, 시간, 강도, 빈도 등을 교육하는 것과 함께 올바른 식생활 유지 교육이 실시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가족 및 보호자의 비만 인식이 장애인 비만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호자에 게 올바른 보조 및 양육 교육을 실시하고, 비만의 원인과 건강위해성 인지 등의 교육으로 자기 효능감을 증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도 강조됐다. 연구진은 “장애인이 공공 및 민간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바우처 제도가 실시되고 있지만 접근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운동자원에 대한 접근성 강화뿐만 아니라 운동의 질 향상을 위해 장애인 운동시설을 확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복지 시설 내에서의 비만캠프, 장애인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연구진은 끝으로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더 많은 건강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취약한 건강상태로 인해 만성질환이 조기 발병할 수 있으며 2차적인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비만은 장료와 고혈압과 같은 유병률이 높은 만성질환을 유발 할 수 있는 질병상태이고 장애인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고 다시 한 번 주의를 강조했다. 본 연구 결과는 지난달 공청회를 거쳐 현재 최종보고서가 작성돼 보건복지부에 검수 중이며, 검수가 마무리 되는대로 책자로 제작될 예정이다. |
- 이전글장애부모, 나홀로 장애인주차구역 단속 11.04.08
- 다음글장애인콜택시, 오는 7월부터 인근 시도까지 탈 수 있어... 1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