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24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결과 발표'
페이지 정보
본문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대한장애인체육회와 함께 전국 등록 장애인 1만 명(만 10세~69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23년 9월~’24년 8월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하는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 비율로서,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도에는 감소했으나 2022년도에 반등, 2024년도에는 35.2%로 상승했다. 이는 2007년 첫 조사 이후 역대 최고 참여율로서, 전년(33.9%)보다 1.3%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행복감지수를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유형별로 살펴보면, ‘완전 실행자’의 행복감지수가 평균 3.34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불완전 실행자’가 평균 3.32점으로 뒤를 이었다. 생활체육에 참여한 장애인이 그렇지 않은 장애인보다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27.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시간이 부족해서’(17.6%),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16.2%), ▴‘시설 이용료가 비싸서’(9.7%)의 순서로 조사됐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생활체육 환경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올해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 대상과 가맹시설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 생활 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속 강화할 계획이다.
‘2024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결과’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주요정책/분야별정책/체육)과 문화셈터(stat.mcst.go.rk),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 1월 말부터 내려받을 수 있다.
내용 전문은 오른쪽 상단의 '기사원문보기'를 클릭하여 확인 부탁드립니다.
조시훈 기자 bokji@bokjinews.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글SK행복나눔재단, 2025 취업연계형 장애인 육성 프로그램 훈련생 모집 25.01.17
- 다음글청소년 장애인도 장애인등록증으로 편리하게 지하철 이용하세요 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