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는 없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이슬
조회 827회
작성일 13-07-02 15:20
본문
은행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장애인 고용 수준은 형편없는 수준으로 드러났다. 주요 시중은행의 장애인 고용률은 정부 권고비율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장애인 인력 채용엔 소극적이다. 심지어 은행권에선 서비스업 특성상 장애인에 적합한 일자리가 없다는 인식마저 보였다.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키우고, 맞춤훈련 과정 운영 및 적합 직종 개발 등의 노력을 통해 장애인 채용을 시급히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4대 은행 장애인 고용 정부 권고치 3분의 1 하회
2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하나은행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장애인 고용 실태가 여전히 정부 권고치에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올해 3월말 현재 4대 시중은행의 총 직원 수는 5만2469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현재 국민은행을 제외한 이들 은행이 고용한 장애인 직원 수는 293명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은 아예 장애인 직원 고용현황 자료 공개를 거부했다.
시중은행의 장애인 고용률은 약 0.7% 수준으로 정부 권고치인 2.5%을 훨씬 밑돈다. 이는 1000명이상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지난해 6월 기준) 1.88%와 견줘봐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외국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프랑스 6%, 독일 5% 수준이다.
어느 은행 가릴 것 없이 대부분의 은행이 장애인 고용률이 낮았다.
고용노동부와 각 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하나은행의 장애인 고용률은 0.68%로 나타났다. 전체 직원 8780명 중 고작 60명 만이 장애인 직원이었다는 얘기다. 우리은행도 전체 직원 1만4323명 가운데 장애인 직원수는 112명으로, 장애인 직원 비율은 0.78%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엔 특별채용 방식으로 장애인 직원 충원에 나섰지만 고작 5명을 뽑은 데 그쳤다. 신한은행의 장애인고용 비율도 2011년말 기준 0.55%로 저조했다. 지난해 특별채용으로 14명을, 올해 상반기 23명을 뽑아 이 수치가 다소 개선됐지만 여전히 전체 직원에서 장애인 직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0%대 중후반 수준이다. 4대은행 중 하반기 장애인 채용 계획을 세운 곳은 없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장애인 채용이 주로 특별 채용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잡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 해괴한 변명 "맡길 업무없다"…미고용 부담금으로 때우기
대부분의 시중은행은 고객과의 대면업무가 많은 서비스업 특성 때문에 장애인 고용이 어렵다는 '해괴한' 논리를 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무래도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업무가 많은 서비스업이다 보니 장애인 인력을 지점에 배치하기가 곤란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장애인 인력은 자료 수집·정리 등의 후선 업무나 콜센터 업무 정도로 업무 영역이 한정돼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은행들은 장애인 직원을 두기 보단 미고용 부담금을 내는 식으로 장애인 고용을 회피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2.7%로 높아져 은행의 미고용 부담금 부담은 커질 전망이다. 정부는 미고용 장애인 직원 1인당 월 62만6000원의 부담금을 물리고, 여기에 의무고용 이행정도에 따라 25%내지 50%까지 가산해서 부담금을 부과한다. 4대 은행 모두 의무고용률이 절반에도 못미친다는 걸 감안하면 부담기초액의 50%를 가산한 93만9000원을 부담금으로 내야 한다. 4대 은행의 직원 수가 5만3000여명이라는 걸 감안하면 최소한 1400여명 이상의 장애인 직원을 둬야 한다. 어림잡아 약 1000여명의 장애인 직원을 더 뽑아야 한다는 걸 감안하면 단순계산으로도 이들은 내년에 최소한 10억원 이상의 부담금을 물어야 한다. 하지만 은행들은 장애인 인력을 늘려 현업에 투입하기 보다 미고용 부담금을 무는 식으로 대응해오고 있어 비난받고 있다.
◆ "인식 개선부터"…맞춤훈련 과정·적합직종 개발 절실
여기저기서 장애인 고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김난희 팀장은 "은행 지점업무가 면대면 업무라해서 채용기회 자체가 박탈되어선 안 된다. 그 때문에 아예 꿈을 키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장애가 다소 불편하더라도 사회통합적인 측면에서 함께 해결해야 할 문제다"고 꼬집었다. 고용노동부 장애인고용과 관계자도 "적합한 업무가 없어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다는 건 핑계에 불과하다. 은행이 아닌 다른 서비스에서도 장애인 인력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장애인에 적합한 직종을 발굴해 그에 맞는 채용을 실시할 수 있다는 얘기다.
비슷한 맥락에서 은행 업무에 적합한 장애인 인재를 키우려는 노력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크다. 김난희 팀장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등에 맞춤훈련 과정이 있다. 공단에서는 금융권에서 요구한 직무 과정에 대해 국비로 맞춤 교육을 시켜준다. 은행권에선 맞춤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직군을 개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금융권의 대우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 굉장이 많은 인재가 배출될 수 기 때문에 장애인 직무개발에 대한 은행권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금융권에서 콜센터 채용 연령을 까다롭게 제한하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비슷한 콜센터 업무 유형이더라도 타 업권의 경우 20~40대까지 채용의 범위가 비교적 넓은 반면, 은행권에선 20대에서 30대 초반까지 한정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한 장애인 단체 관계자는 지점에서의 면대면 서비스뿐만 아니라 콜센터 채용에서도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이전글'서울시 장애인 무료해변캠프' 17일 개장 13.07.03
- 다음글갑과 을의 관계를 돌아보게 하는 현금지급제도 1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