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복지뉴스

공공기관 의존 장애인 생산품, 민간구매 활성화 시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은경 조회 826회 작성일 13-01-11 09:11

본문


2007년 7억 7천만 원, 2008년 8억 1천만 원, 2009년 15억 6천만 원, 2010년 20억 2천만 원, 2011년 25억 2천만 원, 2012년 24억 3천만 원.



경남 창원시 신월동에 있는 보건복지부 지정 '경남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의 최근 5년간 판매액 현황이다.



겉으로 보기엔 '승승장구' 하고 있으나 내용을 뜯어보면 걱정이 많다고 판매시설 측은 11일 밝혔다.



매년 판매액의 95% 이상을 도내 지자체·학교 등 공공기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간기업이나 개인의 장애인 생산품 구입은 거의 없다시피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은 부산과 울산 등 전국의 판매시설도 크게 다르지 않다.



경남의 판매시설은 현재까지 생산품목을 늘리는 과정에서 다행히 판매액이 덩달아 증가했지만 지금처럼 판로가 특정 기관에 계속 머물러 있다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판로 확장을 고심하고 있다.



판매가 한계에 부닥치면 결국 물품 생산에 종사하는 장애인의 고용 창출과 자립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전국 각지의 판매시설들은 판로 확대를 위해 장애인 생산품에 관한 사회의 인식 제고, 홍보 강화,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엄마가 어린 자녀에게 먹일 음식으로 장애인이 만든 식품을 선뜻 사겠느냐"고 반문하고 "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사회 전반의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온라인 홍보를 강화하고 특별 전시 판매전을 여는 등 소비자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애인 생산품을 구매한 민간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 판매시설 임채수 사무국장은 "판매까지 원활히 이뤄져야 장애인 고용 창출과 자립의 선순환이라는 판매시설 설립 취지를 실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은 화장지부터 복사용지, 햄, 돈가스 등에 이르기까지 장애인들이 생산한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고 있다.



지역명과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을 키워드(예로 들어 경남 +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로 검색하면 인터넷에서 관련 물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